논리데이터 저장소

  1. 자료구조
    1. 리스트, 스택, 큐, 데크(큐의 양쪽끝에서 삽입삭제)
    2. 트리
      • 차수 - 연결된 자식노드수 ( 디폴트-최대차수)
      • 순회방법
        • 전위(pre) - 뤁레롸
        • 중위(in) - 레뤁롸
        • 후위(post) - 레롸뤁
    3. 이진트리
      • 포화이진트리 - 꽉찬거
      • 완전이진트리 - 마지막레벨빼고는 꽉참
      • 편향이진트리 - 한쪽으로만
    4. 그래프
      • cyclo~~계산 - E-N+2

물리데이터저장소

  1. 논리데이터 → 물리데이터저장소 모델로 변환
    1. 단위개체를 테이블로 변환
    2. 속성을 컬럼으로
    3. UID를 기본키로
    4. 관계를 외래키로
    5. 컬럼유형과 길이 정의
    6. 반정규화
      • 테이블 통합 - 일대일, 일대다 관계를 통합 → 조인횟수를 줄인다 (다대다는 안됨)
      • 테이블 분할 - 수평분할(레코드기준), 수직분할(컬럼의 개수가 증가하는경우 활용)
      • 중복테이블 추가 - 집계함수 사용시 → 집계, 진행, 특정부분포함
      • 컬럼 중복화 - 조인성능향상을 위한 중복 허용
  2. 물리데이터 저장소 구성
  3. ORM프레임워크
  4. 트랜잭션 인터페이스